목록전체 글 (19)
개발 일기

이번에 본가에 잠시 올라오게 되었는데 맥북을 놓고 왔다. 아이패드라도 있었으면 blink앱으로 ssh 터미널상에서 끄적거리기라도 해볼텐데 핸드폰 빼고 아무것도 가져오지 않았다. 그래서 오늘은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코딩 공부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을 적어보려고 한다. 우선 이 방법은 최신 갤럭시모델을 사용하는 사람만 가능한 방법이다. 갤럭시에는 dex라는 기능이 있는데 갤럭시를 외부 모니터에 연결하면 이렇게 dex기능이 활성화 되면서 간이 desktop을 사용할 수 있다. 다행히 우리 집에 맥북도 없고 아무것도 없지만 맥북 연결을 위해 모니터에 usb c타입 허브가 있었고 블루투스 키보드와 마우스도 구비되어 있었기에 아무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최소한 usb c 에서 hdmi라도 연결할..

약 5주간의 코멘토 수업이 끝난지 벌써 3주가 지났다. 늦은감이 있지만 오늘은 수업을 하면서 배웠던 점과 느낀점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위 사진처럼 나는 1/14일에 코멘토라는 사이트에서 직무관련 교육을 찾아다녔고 한 강의를 발견했다. [ 파이썬으로 배우는 백엔드 개발 실무 : API 개발, 구현, 배포 등 ] comento.kr/edu/learn/ITSW/SW%EA%B0%9C%EB%B0%9C-G816 파이썬으로 배우는 백엔드 개발 실무 : API 개발, 구현, 배포 등 | 코멘토 직무부트캠프 [ 차시별 과제 소개 ]Python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뿐만 아니라, 웹 개발에서도 유연함과 강력함을 인정받고 있습니다.해당 캠프는 1주차에 기초 comento.kr 그리고 1/31..

작년 말쯤 개발자가 되려는 마음을 잡고 현재인 3월 19일까지 짧은시간이지만 100일이 넘는 시간동안 나름 열심히 공부를 해왔다. 요즘 집중도 잘 안되고 뭔가 초심이 많이 흐려진 기분이 들어 부끄럽지만 한번 지금까지는 어떻게 했는지 앞으로는 어떻게 할것인지 생각을 정리해보기로 했다. 처음 개발자가 되기로 한 이유 사실 작년까지는 개발자라는 직업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 본적이 없었다. 학교에서 C++, C를 배운적은 있어도 개발자가 되기 위한 과정 보다는 간단한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느낌으로 배운게 전부였다고 생각했다. 그러다 우연히 지인이 python강의를 배우는데 (지인은 비전공자였다.) 도와줄 수 있냐는 부탁을 받았고 python 강의를 듣는내내 충격을 받았다. 내가 들었던 수업은 타 대학의 수업이었..

호스팅이란 말의 뜻은 어떤 서비스를 빌려서 사용한다는 말이다. 그럼 웹 호스팅은? 말 그대로 외부의 서버를 빌려서 기능을 사용한다는 말을 의미한다. 호스팅은 웹호스팅, 서버호스팅, 클라우드호스팅과 같은 종류가 있는데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1. 웹호스팅 ozhome.co.kr/hosting/about.html 웹호스팅이란? - 오즈웹 웹호스팅 개념 설명 및 홈페이지 만들기 위한 절차 안내 ozhome.co.kr 나는 전문가도 아니고 웹 호스팅이 뭔지 알기 위해서 서비스를 하고 있는 회사의 설명을 빌리기로 했다. 웹 호스팅의 설명은 위와 같이 나와있는데 쉽게 말해서 내가 HTML이나 CSS와 같은 코드를 이용해서 웹 페이지를 만들었다고 치자. 웹페이지를 하나 제작했다고 해서 누구나 내 사이트에 접속할 수 ..

DNS란 뭘까? DNS가 뭔지 모르는 사람일지라도 한번도 사용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DNS란 Domain Name System의 줄임말이며 호스트의 도메인을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DNS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도메인 이름을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사용자를 어떤 IP주소에 연결할 것인지를 제어해주고 이 요청을 쿼리라고 부른다. 왜 사람들은 DNS를 사용할까? 이유는 아주 간단하다. 지난번 인터넷이 어떻게 동작되는가?jonghyuck.tistory.com/16에서도 언급했지만 우리의 기억력이 아주아주 좋아서 내가 접속하는 곳의 IP 주소를 알고있다면 참 편할 것이다. 하지만 그게 말이 되는가? 다음과 같은 모습을 상상해보자. 인터넷이 어떻게 동작하는가? 참고 ..

우리는 매일 휴대폰, 노트북을 통해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이는 브라우저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행동이다. 브라우저가 뭔지 모르는 사람도 있다면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누르는 크롬, 익스플로러, 사파리등이 모두 브라우저라는 프로그램이다.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페이지를 서버에 요청하고 서버에서 받은 응답을 브라우저에 표시해주는 것이다. 주요 기능 브라우저는 HTML 과 CSS 면세에 따라 HTML 파일을 해석해서 표시하며 이는 웹 표준화 기구인 W3C (World Wide Web Consortium) 에서 정한다. 이는 과거에 브라우저들이 일부 명세만 따르고 독자적인 방법으로 브라우저를 확장시킴으로써 호환성에 심각한 문제를 겪으며 최근에 와서는 대부분의 브라우저가 W3C의 표준 명세를 따르게 ..

참고 문헌: developer.mozilla.org/ko/docs/Learn/Common_questions/How_does_the_Internet_work 인터넷은 어떻게 동작하는가? - Web 개발 학습하기 | MDN 인터넷은 어떻게 동작하는가? 이 글에서는 인터넷의 개념과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합니다. 선행지식: 선행지식은 필요없습니다. 하지만 '프로젝트의 목표 설정에 대한 글(Article on setting project goa developer.mozilla.org 인터넷은 웹의 핵심적인 기술이다. 인터넷의 가장 기본적인 것은,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 가능한 거대한 네트워크란 점이다. 인터넷의 역사는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1960년대 한 연구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1980년대..

tcpschool.com/html/intro 코딩교육 티씨피스쿨 4차산업혁명, 코딩교육, 소프트웨어교육, 코딩기초, SW코딩, 기초코딩부터 자바 파이썬 등 tcpschool.com python을 공부할때 jump_to_python을 참조해서 공부했던 기억이 떠올라서 HTML에도 비슷한 site가 없나 찾아보던 차에 위 사이트를 발견하게 되었다. 우선 따라서 정리를 해보자. HTML이란? HTML은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 웹페이지는 이런 HTML태그들로 구성되어 있다. HTML 버전 대략적인 버전은 위와 같으며 현재는 HTML5가 사용된다. 자세한 사항은 W3C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W3C란? World Wide Web Consortium의 약자로 월드와이..

프로그래머 그중에서도 웹 프로그래머를 준비중인 분들이라면 내가 현재 어느정도 수준인지, 앞으로는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지 객관적인 지표로 확인해보고 싶을 때가 있다. 특히 이제 막 개발자라는 직군에 들어섰다면 어디부터 어떻게 공부해야 할 지도 막막할 것이다. 그런 사람들을 위해 github, roadmap.sh에는 다양한 로드맵들이 존재한다. 이는 대부분의 개발자들에 통계에 의한 지표이니 생각보다 믿을만하다고 생각한다. 오늘은 이러한 로드맵에 대해서 다루어 보고자 한다. 사람에 따라서 공부의 순서가 다를 수는 있지만 현역 개발자 분들의 의견을 들어보아도 많은 도움이 되는 로드맵이라는것이 정설이니 한번쯤 확인하고 본인의 역량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 삼으면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물론 로드맵에 정답은 없다..

이번에 django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는데 django를 처음 사용하기 시작 했을때부터 공부했던 명령어나 개념들을 블로그에 정리해보려고 마음을 먹었다. docs.djangoproject.com/ko/3.1/intro/tutorial01/ 첫 번째 장고 앱 작성하기, part 1 | Django 문서 | Django Django The web framework for perfectionists with deadlines. Overview Download Documentation News Community Code Issues About ♥ Donate docs.djangoproject.com 위 사이트가 공식 django 문서를 한국어로 번역한 사이트이다. 위 튜토리얼만 따라하면 누구나 쉽게 자신만의..

계속 한 환경에서만 git을 사용하다 보니 레파지토리를 옮긴다거나 서버를 옮겼을때 git 설정 방법이 헷갈렸다. 그래서 github에 대한 자주 사용하는 사용 방법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먼저 github에 새로운 repository를 생성해준다. 새로 생성한 repository에는 위 사진 처럼 create a new repository on the command line 과 or push an existing repository from the command line으로 나뉘게 된다. 전자의 경우는 로컬 저장소가 아직 없다면 지신이 git에 업로드하고 싶은 저장소를 설정해주면 된다. 후자의 경우는 이미 로컬 저장소가 있다면 로컬 저장소를 원격저장소인 github와 연결해주는 작업이다. 위 명령어대로 터..

개발 환경 : ubuntu 서버를 사용하다보면 다른 서버로 옮겨야 하거나 가상환경을 새로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럴 경우 하나씩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해주기는 번거롭다. 따라서 기존 서버에서 필요한 패키지들을 requirements.txt에 저장한 뒤에 새로운 서버 or 가상환경에서 불러옴으로써 한번에 개발환경을 옮길 수 있다. 우선 django는 python기반의 framework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패키지를 pip 명령어를 통해 설치하게 되고 requirements.txt 를 생성하고 불러오는것 또한 pip 명령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pip 설치하기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y upgrade sudo apt-get install python-p..

개발을 하다보면 ssh로만 개발을 해야 하는 상황이 있다. 나같은 경우는 노트북이 망가지거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아이패드에 Blink앱을 통해서 개발을 건드리곤 하는데 이럴때 가장 불편한점이 ssh의 경우 일정 시간 세선에 입력이 없을 경우 접속이 자동으로 끊어지는 일이 잦았다. 따라서 mosh의 사용이 필수적인데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으니 혹시라도 나와 같은 상황에 있는 사람이 있다면 참고했으면 좋겠다. (mosh를 사용시 내가 접속을 강제로 끊지 않는한 연결이 거의 끊어질 일이 없다. 현재는 조금 강화된 ssh라고 봐도 무방하고 좀더 궁금하면 구글에 많은 정보가 있으니 참조해보자.) 우선 서버에 mosh를 설치해줘야 한다. mosh.org/#getting Mosh: the mobi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