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9)
개발 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F8eVW/btq0AHUX1jc/2NShObA3NWckhwdaU5V5k1/img.jpg)
이번에 본가에 잠시 올라오게 되었는데 맥북을 놓고 왔다. 아이패드라도 있었으면 blink앱으로 ssh 터미널상에서 끄적거리기라도 해볼텐데 핸드폰 빼고 아무것도 가져오지 않았다. 그래서 오늘은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코딩 공부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을 적어보려고 한다. 우선 이 방법은 최신 갤럭시모델을 사용하는 사람만 가능한 방법이다. 갤럭시에는 dex라는 기능이 있는데 갤럭시를 외부 모니터에 연결하면 이렇게 dex기능이 활성화 되면서 간이 desktop을 사용할 수 있다. 다행히 우리 집에 맥북도 없고 아무것도 없지만 맥북 연결을 위해 모니터에 usb c타입 허브가 있었고 블루투스 키보드와 마우스도 구비되어 있었기에 아무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최소한 usb c 에서 hdmi라도 연결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5piQs/btq0AIsBBlx/gTp2tgI6tTckZA1ZXAJJK0/img.png)
약 5주간의 코멘토 수업이 끝난지 벌써 3주가 지났다. 늦은감이 있지만 오늘은 수업을 하면서 배웠던 점과 느낀점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위 사진처럼 나는 1/14일에 코멘토라는 사이트에서 직무관련 교육을 찾아다녔고 한 강의를 발견했다. [ 파이썬으로 배우는 백엔드 개발 실무 : API 개발, 구현, 배포 등 ] comento.kr/edu/learn/ITSW/SW%EA%B0%9C%EB%B0%9C-G816 파이썬으로 배우는 백엔드 개발 실무 : API 개발, 구현, 배포 등 | 코멘토 직무부트캠프 [ 차시별 과제 소개 ]Python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뿐만 아니라, 웹 개발에서도 유연함과 강력함을 인정받고 있습니다.해당 캠프는 1주차에 기초 comento.kr 그리고 1/3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5UW3/btq0ul5DIfP/Lh2ZGFaQJiLsMZvMX8q0rk/img.png)
작년 말쯤 개발자가 되려는 마음을 잡고 현재인 3월 19일까지 짧은시간이지만 100일이 넘는 시간동안 나름 열심히 공부를 해왔다. 요즘 집중도 잘 안되고 뭔가 초심이 많이 흐려진 기분이 들어 부끄럽지만 한번 지금까지는 어떻게 했는지 앞으로는 어떻게 할것인지 생각을 정리해보기로 했다. 처음 개발자가 되기로 한 이유 사실 작년까지는 개발자라는 직업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 본적이 없었다. 학교에서 C++, C를 배운적은 있어도 개발자가 되기 위한 과정 보다는 간단한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느낌으로 배운게 전부였다고 생각했다. 그러다 우연히 지인이 python강의를 배우는데 (지인은 비전공자였다.) 도와줄 수 있냐는 부탁을 받았고 python 강의를 듣는내내 충격을 받았다. 내가 들었던 수업은 타 대학의 수업이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JuBZ/btq0do1Aa8l/EuqwWG1DrBpH7r8emQBTBk/img.png)
호스팅이란 말의 뜻은 어떤 서비스를 빌려서 사용한다는 말이다. 그럼 웹 호스팅은? 말 그대로 외부의 서버를 빌려서 기능을 사용한다는 말을 의미한다. 호스팅은 웹호스팅, 서버호스팅, 클라우드호스팅과 같은 종류가 있는데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1. 웹호스팅 ozhome.co.kr/hosting/about.html 웹호스팅이란? - 오즈웹 웹호스팅 개념 설명 및 홈페이지 만들기 위한 절차 안내 ozhome.co.kr 나는 전문가도 아니고 웹 호스팅이 뭔지 알기 위해서 서비스를 하고 있는 회사의 설명을 빌리기로 했다. 웹 호스팅의 설명은 위와 같이 나와있는데 쉽게 말해서 내가 HTML이나 CSS와 같은 코드를 이용해서 웹 페이지를 만들었다고 치자. 웹페이지를 하나 제작했다고 해서 누구나 내 사이트에 접속할 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3eeMD/btqZ4APG9He/q5sakjkLBZYoIi5uKYAOBk/img.png)
DNS란 뭘까? DNS가 뭔지 모르는 사람일지라도 한번도 사용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DNS란 Domain Name System의 줄임말이며 호스트의 도메인을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DNS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도메인 이름을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사용자를 어떤 IP주소에 연결할 것인지를 제어해주고 이 요청을 쿼리라고 부른다. 왜 사람들은 DNS를 사용할까? 이유는 아주 간단하다. 지난번 인터넷이 어떻게 동작되는가?jonghyuck.tistory.com/16에서도 언급했지만 우리의 기억력이 아주아주 좋아서 내가 접속하는 곳의 IP 주소를 알고있다면 참 편할 것이다. 하지만 그게 말이 되는가? 다음과 같은 모습을 상상해보자. 인터넷이 어떻게 동작하는가? 참고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iSvM/btqZ3f53Mn2/uvRKUz5MFuMCy8vQTGtfmk/img.png)
우리는 매일 휴대폰, 노트북을 통해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이는 브라우저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행동이다. 브라우저가 뭔지 모르는 사람도 있다면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누르는 크롬, 익스플로러, 사파리등이 모두 브라우저라는 프로그램이다.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페이지를 서버에 요청하고 서버에서 받은 응답을 브라우저에 표시해주는 것이다. 주요 기능 브라우저는 HTML 과 CSS 면세에 따라 HTML 파일을 해석해서 표시하며 이는 웹 표준화 기구인 W3C (World Wide Web Consortium) 에서 정한다. 이는 과거에 브라우저들이 일부 명세만 따르고 독자적인 방법으로 브라우저를 확장시킴으로써 호환성에 심각한 문제를 겪으며 최근에 와서는 대부분의 브라우저가 W3C의 표준 명세를 따르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