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backend/인터넷 (6)
개발 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JuBZ/btq0do1Aa8l/EuqwWG1DrBpH7r8emQBTBk/img.png)
호스팅이란 말의 뜻은 어떤 서비스를 빌려서 사용한다는 말이다. 그럼 웹 호스팅은? 말 그대로 외부의 서버를 빌려서 기능을 사용한다는 말을 의미한다. 호스팅은 웹호스팅, 서버호스팅, 클라우드호스팅과 같은 종류가 있는데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1. 웹호스팅 ozhome.co.kr/hosting/about.html 웹호스팅이란? - 오즈웹 웹호스팅 개념 설명 및 홈페이지 만들기 위한 절차 안내 ozhome.co.kr 나는 전문가도 아니고 웹 호스팅이 뭔지 알기 위해서 서비스를 하고 있는 회사의 설명을 빌리기로 했다. 웹 호스팅의 설명은 위와 같이 나와있는데 쉽게 말해서 내가 HTML이나 CSS와 같은 코드를 이용해서 웹 페이지를 만들었다고 치자. 웹페이지를 하나 제작했다고 해서 누구나 내 사이트에 접속할 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3eeMD/btqZ4APG9He/q5sakjkLBZYoIi5uKYAOBk/img.png)
DNS란 뭘까? DNS가 뭔지 모르는 사람일지라도 한번도 사용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DNS란 Domain Name System의 줄임말이며 호스트의 도메인을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DNS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도메인 이름을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사용자를 어떤 IP주소에 연결할 것인지를 제어해주고 이 요청을 쿼리라고 부른다. 왜 사람들은 DNS를 사용할까? 이유는 아주 간단하다. 지난번 인터넷이 어떻게 동작되는가?jonghyuck.tistory.com/16에서도 언급했지만 우리의 기억력이 아주아주 좋아서 내가 접속하는 곳의 IP 주소를 알고있다면 참 편할 것이다. 하지만 그게 말이 되는가? 다음과 같은 모습을 상상해보자. 인터넷이 어떻게 동작하는가? 참고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iSvM/btqZ3f53Mn2/uvRKUz5MFuMCy8vQTGtfmk/img.png)
우리는 매일 휴대폰, 노트북을 통해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이는 브라우저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행동이다. 브라우저가 뭔지 모르는 사람도 있다면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누르는 크롬, 익스플로러, 사파리등이 모두 브라우저라는 프로그램이다.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페이지를 서버에 요청하고 서버에서 받은 응답을 브라우저에 표시해주는 것이다. 주요 기능 브라우저는 HTML 과 CSS 면세에 따라 HTML 파일을 해석해서 표시하며 이는 웹 표준화 기구인 W3C (World Wide Web Consortium) 에서 정한다. 이는 과거에 브라우저들이 일부 명세만 따르고 독자적인 방법으로 브라우저를 확장시킴으로써 호환성에 심각한 문제를 겪으며 최근에 와서는 대부분의 브라우저가 W3C의 표준 명세를 따르게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u1j/btqZUVzzdTb/1xFnYbNxg6QxaNLu78yiX1/img.png)
참고 문헌: developer.mozilla.org/ko/docs/Learn/Common_questions/How_does_the_Internet_work 인터넷은 어떻게 동작하는가? - Web 개발 학습하기 | MDN 인터넷은 어떻게 동작하는가? 이 글에서는 인터넷의 개념과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합니다. 선행지식: 선행지식은 필요없습니다. 하지만 '프로젝트의 목표 설정에 대한 글(Article on setting project goa developer.mozilla.org 인터넷은 웹의 핵심적인 기술이다. 인터넷의 가장 기본적인 것은,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 가능한 거대한 네트워크란 점이다. 인터넷의 역사는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1960년대 한 연구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1980년대..